
” 내 삶을 이루는 소박한 행복 세가지는
스승이자 벗인 책 몇 권,
나의 일손을 기다리는 채소밭,
그리고 오두막 옆 개울물 길어다 마시는 차 한잔이다. “
– 이미지 및 글 인용, 법정 스님, ‘아름다운 마무리’ 中에서
” 내 삶을 이루는 소박한 행복 세가지는
스승이자 벗인 책 몇 권,
나의 일손을 기다리는 채소밭,
그리고 오두막 옆 개울물 길어다 마시는 차 한잔이다. “
– 이미지 및 글 인용, 법정 스님, ‘아름다운 마무리’ 中에서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서정주님의 ‘신부’중에서-
#57. 이별이었구나.
어느덧 일을 마치고 돌아올 때가 되었다. 개와 마지막으로 따뜻한 인사를 나눴다. 주인이 돌아오면 내가 해주었던 것보다 훨씬 더 잘 보살펴줄것이었다.
내가 떠난 다음 날인가, 후배 부부는 돌아왔고 며칠 후, 전화 통화를 하면서 개의 안부를 들을 수 있었다.
“그동안 개가 말 잘 들었지요? “
“그럼, 너무 착해서 아무 문제 없었어.”
“근데 선배가고 돌아와 보니 마루에다 먹은 걸 토해놨더라구요. 챙겨준 사료는 건드리지도 않았구요.”
“아니, 왜? 나 있을 땐 아무렇지 않았는데. 어디 아픈 거야?”
“아뇨. 선배 여기 올때 큰 여행가방 가지고 왔을 거 아니에요? 떠날 때는 큰 여행가방 들고 나가셨을 거구요. 개가 여행가방에 민감해요. 정들었는데 떠나는 걸 알고 마음이 많이 안 좋았나봐요.”
아, 이별이었구나.
나는 돌아와 정신없이 일에 매달리느라 한 번도 뒷일을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별이 아팠구나. 미안하다. 나, 이토록 텁텁하게 살아서. 정말 미안하다. 음식을 만들면서도 음식에다 감정을 담는 것인데 하물며 나라는 사람, 이렇게 모른 척 뻣뻣하게 살아가고 있어서.
-인용. 이병률 산문집.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중에서
봄 /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을 벌려 껴안아보는
너,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섬에서
그대, 오늘 볼 때마다 새롭고
만날 때마다 반갑고
생각날 때마다 사랑스런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풍경이 그러하듯이
풀잎이 그렇고
나무가 그러하듯이
– 시인. 나태주
이미지 인용 : 황선화 작가의 <나비의 사랑>
” 감옥과 수도원의 차이는 불평을 하느냐 감사를 하느냐에 달려있다. “
마쓰시타 고노스케
우리는 늘 현재의 자기 직분을 놓칩니다.
무엇인가를 배우러 와 놓고는 남을 가르치는 사람도 있고
가르치러 왔는데 그걸 방임하는 사람도 있고,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해 감사해야 할 사람이
오히려 도움을 준 사람을 욕하기도 합니다.
지금
여기
왜
이 세 가지에 늘 깨어있으면
삶에 후회라는 건 있을 수 없습니다.
지금 깨어있지 못하기 때문에
지나고 보면 후회할 일이 생깁니다.
– 인용글. 법륜스님의 ‘지금 여기 깨어있기’ 중에.
– 이미지.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전 – 한정식 작가님의 ‘고요’ 시리즈 중
나 역시 나이가 들수록 유독 맛보고 싶은 음식이 있다.
대학 시절 학교 쪽문에서 호호 불어가며 먹던 칼제비의 푸짐함이 그립고,
이거 다 비워야 키 큰다”며 할머니가 만들어준 콩국수의 맛도 잊을 수 없다.
돌이켜보면 그런 음식 곁엔 특정한 사람과 특정한 분위기가 있었던 것 같다.
음식을 맛보며 과거를 떠올린다는 건,
그 음식 자체가 그리운 게 아니라 함께 먹었던 사람과 분위기를 그리워 하는 건지도 모른다.
그리운 맛은, 그리운 기억을 호출한다.
– 인용. 이기주, ‘언어의 온도’ 중에서
2017.08.19.
오랜만에 누님 개인전을 다녀오는 외출길에
등산을 하던 아버지와 아들이 있었습니다.
아버지가 등산용 스틱으로 버섯을 툭툭 치면서 이야기해요.
“잘 봐, 이게 독버섯이야, 먹으면 죽어.”
아들이 그 얘기를 듣고 “아, 이게 독버섯이구나.”하고 지나갔습니다.
그 얘기를 들은 어린 독버섯이 충격을 받고 쓰러지면서 말했습니다.
“아, 내가 독버섯이구나. 난 누군가를 죽이는 존재구나.
내가 저렇게 예쁜 애를 죽일 수 있는 존재라니! “
어린 독버섯이 슬퍼할 때 곁에 있던 다른 독버섯이 친구의 어깨를 받치며 이야기했습니다.
“아니, 저건 식탁 위의 이야기고, 인간의 논리야
넌 내 친구야, 넌 쟤네 먹으라고 태어난 게 아니고
나랑 친구하려고 태어난 거야.”
– 신영복님의 “담론” 중에서
아프게 사라진 모든 사람은
그를 알던 이들의 마음에
상처와도 같은
작은 빛을 남긴다
인용. 최윤 <회색 눈사람> 중에서
이미지. tVN 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