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삶을 이루는 소박한 행복 세가지는
스승이자 벗인 책 몇 권,
나의 일손을 기다리는 채소밭,
그리고 오두막 옆 개울물 길어다 마시는 차 한잔이다. “
– 이미지 및 글 인용, 법정 스님, ‘아름다운 마무리’ 中에서
” 내 삶을 이루는 소박한 행복 세가지는
스승이자 벗인 책 몇 권,
나의 일손을 기다리는 채소밭,
그리고 오두막 옆 개울물 길어다 마시는 차 한잔이다. “
– 이미지 및 글 인용, 법정 스님, ‘아름다운 마무리’ 中에서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서정주님의 ‘신부’중에서-
봄 /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을 벌려 껴안아보는
너,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섬에서
그대, 오늘 볼 때마다 새롭고
만날 때마다 반갑고
생각날 때마다 사랑스런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풍경이 그러하듯이
풀잎이 그렇고
나무가 그러하듯이
– 시인. 나태주
이미지 인용 : 황선화 작가의 <나비의 사랑>
” 감옥과 수도원의 차이는 불평을 하느냐 감사를 하느냐에 달려있다. “
마쓰시타 고노스케
우리는 늘 현재의 자기 직분을 놓칩니다.
무엇인가를 배우러 와 놓고는 남을 가르치는 사람도 있고
가르치러 왔는데 그걸 방임하는 사람도 있고,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해 감사해야 할 사람이
오히려 도움을 준 사람을 욕하기도 합니다.
지금
여기
왜
이 세 가지에 늘 깨어있으면
삶에 후회라는 건 있을 수 없습니다.
지금 깨어있지 못하기 때문에
지나고 보면 후회할 일이 생깁니다.
– 인용글. 법륜스님의 ‘지금 여기 깨어있기’ 중에.
– 이미지.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전 – 한정식 작가님의 ‘고요’ 시리즈 중
나 역시 나이가 들수록 유독 맛보고 싶은 음식이 있다.
대학 시절 학교 쪽문에서 호호 불어가며 먹던 칼제비의 푸짐함이 그립고,
이거 다 비워야 키 큰다”며 할머니가 만들어준 콩국수의 맛도 잊을 수 없다.
돌이켜보면 그런 음식 곁엔 특정한 사람과 특정한 분위기가 있었던 것 같다.
음식을 맛보며 과거를 떠올린다는 건,
그 음식 자체가 그리운 게 아니라 함께 먹었던 사람과 분위기를 그리워 하는 건지도 모른다.
그리운 맛은, 그리운 기억을 호출한다.
– 인용. 이기주, ‘언어의 온도’ 중에서
2017.08.19.
오랜만에 누님 개인전을 다녀오는 외출길에
등산을 하던 아버지와 아들이 있었습니다.
아버지가 등산용 스틱으로 버섯을 툭툭 치면서 이야기해요.
“잘 봐, 이게 독버섯이야, 먹으면 죽어.”
아들이 그 얘기를 듣고 “아, 이게 독버섯이구나.”하고 지나갔습니다.
그 얘기를 들은 어린 독버섯이 충격을 받고 쓰러지면서 말했습니다.
“아, 내가 독버섯이구나. 난 누군가를 죽이는 존재구나.
내가 저렇게 예쁜 애를 죽일 수 있는 존재라니! “
어린 독버섯이 슬퍼할 때 곁에 있던 다른 독버섯이 친구의 어깨를 받치며 이야기했습니다.
“아니, 저건 식탁 위의 이야기고, 인간의 논리야
넌 내 친구야, 넌 쟤네 먹으라고 태어난 게 아니고
나랑 친구하려고 태어난 거야.”
– 신영복님의 “담론” 중에서
아프게 사라진 모든 사람은
그를 알던 이들의 마음에
상처와도 같은
작은 빛을 남긴다
인용. 최윤 <회색 눈사람> 중에서
이미지. tVN 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
#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나는 삼십대가 된 어느 봄 날,
내 마음을 바라보다 문득 세 가지를 깨달았습니다.
이 세 가지를 깨닫는 순간,
나는 내가 어떻게 살아야 행복해지는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첫째는, 내가 상상하는 것만큼 세상 사람들은 나에 대해 그렇게 관심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둘째는, 이 세상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해줄 필요가 없다는 깨달음입니다.
셋째는, 남을 위한다면서 하는 거의 모든 행위들은 사실 나를 위해 하는 것이었다는 깨달음입니다.
그러니 제발,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다른 사람에게 크게 피해를 주는 일이 아니라면
남 눈치 그만 보고,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하고 사십시오.
생각만 너무 하지 말고 그냥 해버리십시오.
왜냐하면 내가 먼저 행복해야 세상도 행복한 것이고
그래야 또 내가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인생, 너무 어렵게 살지 맙시다.
P. 127~129
Coffee Break.
2012.9.3
“휴식”을 선물받다.
대원외고에서 仁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