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평상시 행동거지를 잘 해야 하는 이유

평상시 행동거지를 잘 해야 하는 이유
子貢이 曰紂之不善이 不如是之甚也니 是以로 군자 惡居下流하나니 天下之惡이 皆歸焉이니라. – 논어 자장편 20

자공이 말하였다.
“주(紂)는 악함이 그토록까지 심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군자는 하류에 처해 있기를 싫어하는 것이다. 온 천하의 악이 다 그에게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

[해제] 자공은 이런 말을 했다.
“은나라 주왕은 악덕무도한 왕이라 하지만, 실제는 그렇게까지 혹평을 받을 정도로 심하지는 않은 것 같다. 다만 평소에 행동이 나빴기 때문에 하류 지방에 더러운 물이 모여드는 것처럼 모든 나쁜 짓이 주왕에게로 모인 것이다. 그러므로 도에 뜻을 두는 군자는 물을 두고 비유한다면, 하류라고 할 수 있는 곳에 몸을 두기를 꺼리는 것이다. 한 번 나쁘다고 소문이 나면 모든 나쁜 일이 모두 그에게로 돌아가게 되기 때문이다.
– 인용. 김석원. 논어. p.431 [혜원출판사] 

P.S.
자공이 주왕을 편들어서 한 말이 아니라, 사람이 언제나 좋지 못하게 처신하지 않기를 경계해서 한 말임을 지적하고 있다.

[논어] 교사와 학생간에는 얼마간의 믿음이 있어야 하는가?

꽃

# 교사와 학생간에는 얼마간의 믿음이 있어야 하는가?

공자가 노나라의 양호로 착각되어 광의 군대에 둘러싸여 생명이 위험하게 된 일이 있었다. 이때 안연이 행방불명이 되었다가 뒤늦게 따라왔다. 공자께서 크게 기뻐하시며  “나는 네가 붙들려 죽은 줄로만 알았구나!” 하셨다. 이에 안연이 스승의 무사하심을 보고 역시 안심하여 “선생님께서 살아 계신데 제가 어찌 가벼이 죽겠습니까?” 하였다. -논어 11편 선진22장


Cofee Break.

애제자에 대한 스승의 지극한 사랑과 제자의 스승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가 엿보이는 감동적인 장면이 아닐 수 없다. 천하가 뒤숭숭하고 어지러운 춘추 말기에 도를 위하여 천하를 방랑한 공자와 그 제자들은 많은 고통과 위험을 당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깊은 사랑과 절대적인 존경으로 시종 변함 없는 서로의 굳센 의지를 확인했음을 알 수 있다.

공자의 제자 3천명 가운데 육예에 통한 사람이 72명이었는데, 그 중에서 호학으로 이름난 사람은 오직 안회 한 사람 뿐이었다. 논어 전편을 통해 여러 번 언급되고 있는 안회는 공자가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제자였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게 한다.

안회의 성은 ‘안’, 이름은 ‘회’이며, 자는 ‘자연’으로 노나라 사람이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며, 41세에 공자 보다 먼저 작고했다.

– 인용. 김석원님의 ‘논어’ 중에서 p.241 [혜원출판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