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를 댈 수 있으면 그건 좋은 게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데 왜 좋으냐고 묻는다면?
그건 그냥 좋아요,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사랑이다.
– 신미식. 마치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 끌레마
이미지 : 윤정희님
이유를 댈 수 있으면 그건 좋은 게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데 왜 좋으냐고 묻는다면?
그건 그냥 좋아요,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사랑이다.
– 신미식. 마치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 끌레마
이미지 : 윤정희님
붉은 문 : 삶의 마지막 순간 우리는 서로를 어떻게 마주하고 바라보아야 하는 가에 대한 연구
내가 삶을 선택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이미 결정되어진 길을 따라 가고 있는 것인지…
우연이 겹쳐 필연이 되고 선택들은 합쳐져 결과가 되어버린다.
삶을 하나의 무대로 놓고 있는 이 삶의 연출자가 궁금하다.
과연 신은 존재하는가.
인간의 자유의지란 어디까지인가?
분명한 것은 이 삶이라는 것이 반드시 끝이 난다는 사실이다.
과연 무엇을 마지막으로 보고 갈 것인가.
웃을 것인가 울어야만 할 것인가.. 회환이 몰려올지 모른다.
어이없게도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이아니라 형광등이나 혹은 병원의 천장을 보며 임종을 맞는다.
가야만 하고 보내야만 하는 순간 우리는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어떤 표정으로 어떤 눈빛으로 서로를 마주해야 하는가.
여기 아주 비극적인 운명의 남녀가 있다.
시한부 인생을 사는 여자와 그런 사실에 분노하고 울분을 토하는 남자.
하지만 사랑하는 아내를 살리고자하던 그 남자는 어이없게도 사고를 당해 눈만 살아있는 식물인간이 되어 버린다.
죽지도 살지도 않은 상태.. 그런 남편을 두고 마침내 자신이 떠나야 하는 순간이 왔음을 직감한 여자에 관한 이야기다.
분노하고 체념하고 그리고 마침내 서로를 위로하듯 바라보며 작별을 해야 하는 순간, 삶과 죽음의 얇은 경계가 서로 엇갈린다.
이 작품에서 여자는 유일한 한마디를 남겼다.
“시간이 많은 줄 알았어요.”
– 인용글 및 작품 : 이진준
2008 젊은 모색 : 08.12.05 – 09.03.08
YOUNG KOREAN ARTISTS, I AM AN ARTIST.
국립현대미술관 제 1, 2 전시실 + 중앙홀
P.S.
미술관 전시실에서 한참동안을 보고 또 보았던 영상…
집으로 향하는 동안 말없이 운전만 하는 나를 발견한 하루.
넌, 지금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거니?
사랑하는사람앞에서 사랑한다는 말은 안합니다.
아니하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것이 사랑의 진실입니다.
잊어버려야 하겠다는 말은 잊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정말 잊고 싶을 때는 말이 없습니다.
헤어질 때 돌아보지 않는 것은 너무 헤어지기 싫기때문입니다.
그것이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 같이 있다는 말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앞에서 웃는 것은 그만큼 그 사람과 행복하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알수없는 표정은 이별의 시점입니다.
떠날 때 울면 잊지 못하는 증거요 뛰다가 가로등에 기대어 울면
오로지 당신만을 사랑한다는 말입니다.
함께 영원히 있을 수 없음을 슬퍼 말고
잠시라도 같이 있을 수 없음을 노여워 말고
이만큼 좋아해 주는 것에 만족하고
나만 애태운다고 원망 말고
애초롭기까지 한 사랑 할 수 없음을 감사하고
주기만 하는 사랑이라 지치지 말고
더 많이 줄 수 없음을 아파하고
남과 함께 즐거워한다고 질투하지 말고
이룰 수 없는 사랑이라 일찍 포기하지 말고
깨끗한 사랑으로 오래 간직할 수 있는
나는 당신을 그렇게 사랑하렵니다.
– 만해 한용운 –
울고 있는 여인의 등을 토닥이는 노부가 보인다.
노부는 아무 말도 꺼내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
여인에게 필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함께 있어줄 사람, 슬픔이라는 짐을 나누어 들어줄 수 있는 사람말이다.
세상의 일이 심장 하나로 감당하기에 너무나 버거울 때가 있다.
– 글 인용 : 이주은, ‘그림에, 마음을 놓다.’ , 앨리스 출판
– 이미지 : 월터 랭글리, Never Morning Wore To Evening / 1894
” 내 삶을 이루는 소박한 행복 세가지는
스승이자 벗인 책 몇 권,
나의 일손을 기다리는 채소밭,
그리고 오두막 옆 개울물 길어다 마시는 차 한잔이다. “
– 이미지 및 글 인용, 법정 스님, ‘아름다운 마무리’ 中에서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서정주님의 ‘신부’중에서-
#57. 이별이었구나.
어느덧 일을 마치고 돌아올 때가 되었다. 개와 마지막으로 따뜻한 인사를 나눴다. 주인이 돌아오면 내가 해주었던 것보다 훨씬 더 잘 보살펴줄것이었다.
내가 떠난 다음 날인가, 후배 부부는 돌아왔고 며칠 후, 전화 통화를 하면서 개의 안부를 들을 수 있었다.
“그동안 개가 말 잘 들었지요? “
“그럼, 너무 착해서 아무 문제 없었어.”
“근데 선배가고 돌아와 보니 마루에다 먹은 걸 토해놨더라구요. 챙겨준 사료는 건드리지도 않았구요.”
“아니, 왜? 나 있을 땐 아무렇지 않았는데. 어디 아픈 거야?”
“아뇨. 선배 여기 올때 큰 여행가방 가지고 왔을 거 아니에요? 떠날 때는 큰 여행가방 들고 나가셨을 거구요. 개가 여행가방에 민감해요. 정들었는데 떠나는 걸 알고 마음이 많이 안 좋았나봐요.”
아, 이별이었구나.
나는 돌아와 정신없이 일에 매달리느라 한 번도 뒷일을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별이 아팠구나. 미안하다. 나, 이토록 텁텁하게 살아서. 정말 미안하다. 음식을 만들면서도 음식에다 감정을 담는 것인데 하물며 나라는 사람, 이렇게 모른 척 뻣뻣하게 살아가고 있어서.
-인용. 이병률 산문집.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중에서
봄 /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을 벌려 껴안아보는
너,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섬에서
그대, 오늘 볼 때마다 새롭고
만날 때마다 반갑고
생각날 때마다 사랑스런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풍경이 그러하듯이
풀잎이 그렇고
나무가 그러하듯이
– 시인. 나태주
이미지 인용 : 황선화 작가의 <나비의 사랑>
” 감옥과 수도원의 차이는 불평을 하느냐 감사를 하느냐에 달려있다. “
마쓰시타 고노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