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A Good Teacher and the Best Teacher

인중천사약국

                                            A Good Teacher and the Best Teacher

                                                                                            By Shin Chul-ho

This year, a teacher of unique personality came to the school I work at. He teaches English exclusively like I do.
The more I got acquainted with him, the more I came to know what he is.

He loves reading. One day when I entered his classroom to have a chat, I found him reading “The Elegant Universe” by Brian Greene.
A few days passed. I saw him having lunch in the school cafeteria. I sat next to him and asked if he had finished the book.
He said, “Yes. I’ve got another book, `E=MC2′ by David Bodanis.”
It seemed to me that he was eager to further gain access to the secrets of the universe.

A couple of months ago I suggested to him that we go swimming together.
He answered positively but I did not believe him because all the teachers who promised to have a swim together broke their promises.
In the early morning the next day I saw him on the way to his room with a stuffed bag.

“What do you have in your bag?” I asked. “My swimsuit and some books.” he replied.

He did not forget his agreement to go to the swimming pool. So now I sometimes go swimming with him.
On the first day when we decided to enjoy swimming, we agreed to meet at the front gate at 5 p.m.
 I hurried to be on time but the time was ticking past 17:05. My cell phone rang.

“Where are you now?” “I’m coming!” I did not know that he is so punctual.

At the swimming pool he showed his distinctive behavior again. There were several floatation-boards scatter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swimming pool. He began to pick them up one by one and put them back where they belong.

“Are they an eyesore for you?” I asked, giggling. “It should be done by somebody.” he replied seriously.

A couple more things characterize his behavior.

Whenever he comes across anyone he knows, he always says hello to them first, wearing a big smile, whether or not they are older or younger than him.
In this society where many people often pass by without greeting each other, seeing him might be like seeing an oasis in a desert.

He loves children in earnest. Every time I leave the school cafeteria with him, he is hailed by many children here and there. “Hello!” “Hi!” “Nice to see you!”

I often go to his classroom after having lunch and brushing my teeth to chat with him. He always serves me a cup of green tea and I can see what’s happening in his room. In early spring, I could see him grow a few dandelions in a small flowerpot at the window with care. We talked about the dandelion ranging from the origin of its English name to its pharmaceutical effects on the human body. Last week he said he was very sorry that most children are so ignorant of wild plants and that he was planning to describe scores of wild plants with their pictures on the school website.

The day before yesterday I was with him, talking over green tea after lunch in his room. As always, children were free to come and go. Some children came to him saying something trivial, while others were scribbling on the blackboard. Suddenly, three children holding dragonflies between their fingers came in and stood around him to show the dragonflies. He said raising his voice a little, “Those are not toys. Let them fly away!” On hearing his admonition, I was very glad to find a comrade who stands in awe of life.

He will be transferred to another school to be promoted to vice principal in September. I heard him say several times that he will be a vice principal who serves teachers, not dominates them. He has also dreamed up a plan to make the school he works for full of ideal program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 doubt if his dreams can be put into practice in the rigid system of the Korean educational circle, though. I know he is not a perfect person and he can also make mistakes. However, his positive side outweighs his negative side for sure.

I hope he does not give up his first intention and I will keep my fingers crossed for his bright future.

As an epilogue, I feel obliged to quote a passage from “Who is the best teacher?” by Fred H. Stocking , which was given to me by him.


      A good teacher and the best teacher

A good teacher can tell his students a lot of answers to a lot of questions.
But the best teacher can play dumb while helping his students think out the answers for themselves.

A good teacher is an eager and enthusiastic talker.
But the best teacher knows how to be quiet and patient while his students struggle to formulate their own thoughts in their own words.

A good teacher is humble; he naturally feels that the accumulated wisdom of his subjects is far more important than himself.
But the best teacher is even humbler; for he respects the feeling of young people that they are naturally far more important than a silly old subject.

A good teacher knows that his students ought to be honest, responsible, and good citizens.
But the best teacher knows that… [these qualities] are communicated through daily actions, not daily lectures.

The students of a good teacher pass their course, graduate and settle down with good jobs.
But students of the best teacher go on receiving rewards every day of their lives for they have discovered that the life of the inquiring mind is exciting.

 ** Shin Chul-ho i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Kohung, South Cholla Province.

-인용 : 2003년 7월 24일자(목요일)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Column 에서  

지식의 전수자로서의 역할도 매우 중요한 교사의 직분이겠지만,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소중하게 가꾸어 갈 줄 아는 학생들로 키워나가려 애쓰는 교사야 말로 가장 훌륭한 모습의 선생님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신철호 선생님의 고마운 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에세이] 책 선물

누군가에게 책을 선물한다는 것은 용기와 함께 참 설레이는 일이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불안한 마음의 대학 졸업생에게
이제 막 교직에 입문하는 열정 만큼은 완벽한 후배에게
설레임으로 인사를 건네던 잠시 머물다 간 인연에게
어떤 책을 선물할까 고민하는 모습은 교보문고 이곳 저곳을 오래도록 머물게 한다.

그 애틋한 마음을 알기에
한권 한권 고른 책을 선물 받는 기쁨은 다른 무엇에 비할 수 없을 만큼 큰 행복이다.

나를 위해 추천해 준 책을 보며, 
알게 모르게 내가 갖고 있는 책 선정의 우매함도 깨달을 수 있고, 
다정한 편지글에 담기에는 부족한 존재의 무게감도 전할 수 있으니 말이다.

다시 시작된 3월의 교정
새학년 새학기 시작으로 설레임과 들뜬 분주함이 가득한 시간이지만, 한아름의 반가움을 담아 사각사각 연필 소리를 내며 감사의 편지를 쓰고 싶게 만드는 시간이다.

2.0.1.7.0.3.0.3.
따/뜻/한/비/

 

[에세이] 고.3.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고.3.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한때 하얀색 가운을 입고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의 꿈을 꾸는 고3 학생이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내신과 수능, 본고사와 면접으로 이어지는 대입전형 일정에 꿈은 미루어졌고, 시간이 흘러 지금의 자리에 서 있게 되었습니다.
 
첫 꿈을 단념해야했던 아픔의 시기도 있었지만,
어쩌면 지금의 여러분들과 만날 수 있게 된 커다란 선물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지금 여러분들의 첫 번째 도전에 대한 아주 짧은 1차 결과가 나왔을 뿐입니다.

앞으로 추가합격발표도 있고, 정시지원이라는 기회도 있습니다.
나아가 새로운 진로로의 길을 여는 계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낙방이라는 결과에 좌절하지 마시고,
다시 한번 힘을 내 주기 바랍니다.

 세.상.의. 모.든. 선.생.님.들.의. 마.음.을. 담.아. 고.3.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 2012년 12월 8일

– 따뜻한 비 –

[에세이] 결혼식 가는 길

 

대학합격증을 받고 처음으로 캠퍼스에 들어 서던 날,
너도 수학교육과야? 하며 손을 내밀며 반갑게 인사를 건네던 친구.

새내기 대학시절의 모습이 다 그렇듯

술에 의지하며 방황하던 자네는 의정부 백병원에 입원하는 호기를 보이기도 했다네.

졸업을 한학기 남겨두고 진로에 대한 고민에 소주잔을 기울이던 우리들의 모습은
후배들과 늘 함께하던 모임의 뒷풀이가 끝나고 자네와 나만 남아 캠퍼스 중앙광장 잔디위에서 새벽녘에 밝아오는 학교정문의 불빛들을 보며 귀가하고는 했지.

‘잘 지내냐? 얼굴이나 한번 보자.’

뜬금없이 걸려오는 자네의 전화를 받던 5호선 지하철 안에서
어느 이른 겨울,
노원역에서 만나 잔을 기울이던 어느 골목에서
자네와의 추억은 그렇게 이어졌던 것 같네.

‘결혼할 사람이야’

멋이라고는 부릴 줄 모르던 자네가 얼굴을 붉히며 여자친구를 소개하던 날
너를 구해줄 천사가 나타났다는 것에 우리 동기들이 모두 모여 축하해주던 그날
너를 보내고 우리들은 정말 큰 고민 하나를 해결했다며 기뻐해마지 않았다.

너의 그 큰 기쁨이 큰 결실을 이루는 오늘,
진심을 다해 너의 결혼을 축하한다.

신부에게 많은 것을 해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자네의 이야기속에
한아름의 사랑이 담겨 있음을 느끼며
내가 아는 자네의 성정을 알기에 앞으로 큰 사랑으로 아름다운 결혼생활을 이어갈 것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네.

이보게나 친구,
다시한번 자네의 결혼을 축하하네.!!
그리고 진심을 다해 행복하시게.

집들이는 거하게 하는 거겠지?

내, 마음은 가벼이, 두손은 무겁게 하고 자네의 집들이 초대에 기꺼이 찾아감세.

 2012년 11월 25일
자네의 대학 동기 인중이가…

[에세이] 친구, 네가 있음으로…

#친구, 네가 있음으로

학교 축제로 다시 찾은 교정에서 오랜만에 만난 친구의 얼굴에 지난날의 나의 모습을 찾아본다.
잊고 있었던 친구의 모습속에 나타난 지난 추억속의 나의 모습…
친구의 기억 저편에 묻어있는 나의 지난 모습들을 하나둘 꺼내어 본다.
늘어가는 술잔의 기울임 속에 묻어나는 친구의 기억속의 나의 모습….

친구는 알고 있는 것일까…
그의 이야기 속에 숨을 죽이며 귀를 기울이고 있는 나의 모습을..
술 잔 속에 담겨 있는 그의 이야기의 끝을 잡고 있는 나의 마음을…

친구는 말한다.

이 친구가 말이야… 어떤 친구였냐면은 말이지…
항상 꿈이 많았다고 이야기 하는 내 친구의 이야기속에서 옆에 있는 후배가 바라보는 눈을 의식한다.
그리고는 또 다른 모습을 지어보이는 나….
지금은 어떤 모습으로 그의 앞에 서 있는 것일까…

친구야.
항상 꿈이 많았다고 이야기 하는 너의 이야기 속에서 지금의 나는 얼마나 변한 것일까…
너의 기억 하나하나에 가득 담겨 있는 나의 모습… 지금도 나의 모습속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일까….?

늘 묻고 싶었다.
너의 기억속에 있는 나의 모습을 …
그 기억가득 담겨 있는 내 지난날의 모습을….

가르쳐 주겠니,.
나는 어떤 사람이었는지를….

친구야 잊지 말아주렴.
네 기억속에 담겨 있는 나의  모습을
언젠가 내가 너를 찾아 다시금 술잔을 기울일 때
다시 얘기 해 주겠니.
네가 기억하고 있는 너의 기억속의 내 모습을.

넌 후배에게 말한다.
힘이 들때면 언제든 이 선배를 찾으라고.
네게 든든한 힘이 되어줄 수 있는 선배라며 나를 소개하는 너.

친구야. 나 정말 든든한 선배이자 너의 동기일까…
나에게 있어 진정 든든하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는 바로 너라는 사실…
네게 이야기 하고 싶었지만 늘 혀 끝에서 맴도는 이 말이 오늘도 술잔을 넘기는 혀끝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살아가면서 삶의 자신감을 자꾸 잃어가는 나를 느끼고는 한다.
내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가는 길에 들어섰지만 솔직히 겁이 나는구나.
얼마나 긴 시간이 흘러가고 나면 이 두려움을 벗어 낼 수 있는 것일까.

20대의 후반에 들어서며 세상을 바라보는 어느정도의 시야를 가져 가지만 아직도 먼 것 같은 삶의 완전한 철학은 내게서 오랜 수련을 거쳐야 할 듯 싶다.

친구야,
이렇게 너와 마주 앉아 술잔을 기울일 수 있는 내가 너무 즐겁다.
네게 있어 내가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도 기쁘고 나한테 무언의 지지를 보내고 있는 너의 모습도 고맙다.

언젠가 네가 한말….

긴긴 우리의 인생 여행에서 힘들 땐 의지하고 즐거울 때는 함께 나누며, 즐겁고 소탈하게 세상을 헤쳐 나가자며 벅찬 악수를 하며 정상에서 소리치던 우리….
그때의 그 감격스런 우리의 기분을 항상 기억한단다..

언제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난 기억하고 실천할 것임을 안다.
너와 내가 약속한 산 정상에서의 우리들의 약속을…

그리고 믿고 있다.
너와 내가 언제까지나 이렇게 술잔을 기울이며 삶에 대해, 세상에 대해 그리고 인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친구라는 것을….

늘 이야기 하고 싶었지만 쑥스러워 하지 못했던 이야기…

이보게나… 자네는 정말 나의 멋진 친구라네… 알고 있었지?..

멋진 나의 친구…!
항상 행복해라…
그리고 빨리 장가가야지….^^

뭐, 내 걱정부터 하라구?  …. ^^

오랜만에 만난 네 얼굴에서 그동안 잊고 있었던 내 모습을 되찾은 것 같아 새로운 한 주를 다시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

화창한 일요일 정오가 다다를 무렵…

5호선 지하철 안에서 이렇게 너를 만난 글을 쓴다.

친구야, 건강하렴… 항상 행복하구…

– 작문노트
– 황인중.

[에세이] 형은 학교가 그렇게도 좋아?

학교

“형은 학교가 그렇게도 좋아?”

언젠가 후배가 대학 캠퍼스를 찾은 나를 보며 한 말이다.
늘 고민이 있거나 생각할 시간이 필요할 때면 나는 늘 모교 캠퍼스를 찾고는 한다.
졸업을 한지 이제 두해가 지나가고 있지만 발길이 닿는 교정 곳곳에는 아직도 생생하게 지난 대학 시절의 추억이 배어 있어 발걸음 하나하나에 옛 추억들을 일깨워내고 있다.

바쁜 일상의 시름에서 벗어나 이렇게 잠시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내 자신이 오늘은 너무나도 행복하다는 생각을 하여 본다.
따뜻한 봄 햇살을 맞이하며 걷고 있는 교정의 대학생들과 이제 막 잎을 돋으려 하는 나무들이 교정에 한껏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어 바라보는 이로 하여금 행복감을 안겨 주고 있기때문이다.

어느새 나도 사회인이 다 되어 가고 있는 것일까
설날이 지나고 또 한살의 나이를 먹어가면서 이제껏 지내온 생활들을 되돌아보고 있자니 뭔가 아련한 아쉬움같은 것이 하나 둘 쌓여 가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갓 대학을 입학한 새내기 시절.
세상의 모든 것들에 대해 도전해 보고 싶고, 또 할 수 있다는 강렬한 열정이 가득했던 그 시절의 내 모습은 어디로 간 것일까.

이젠 그러한 열정어린 모습들 보다 세상을 조금 재어 보는 시야와 한번씩 더 두드려보고 돌다리를 건너는 어른이 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어른이 된다는 것

삶의 긴 여정에서 내가 서 있는 이 자리의 또 다른 내일을 향해 끊임없이 이어지는 경주에 나 또한 참여해야 한다는 것….

하지만 나에게 있어 잃은 것보다 얻은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하기에 결코 후회하거나 좌절하지는 않는다. 나를 믿어 주는 친구들과 동료들, 내가 내딛는 한발 한발에 든든한 믿음을 주시는 후원자들이 있기에 나는 오늘도 용기를 낸다.

그리고 내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나의 자산, 나의 제자들이 있기에 내가 걷고 있는 이 길이 외롭거나 쓸쓸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누군가를 만난다는 것.
누군가에게 소중한 그 무엇으로 기억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내가 지금 누군가에 추억을 만들어 주고 있다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지금의 나를 다른 그 무엇보다도 기쁘게 해 주고 있음을 나는 안다.

얼마전 학교 재직 시절에 만난 학생으로부터 연락을 받아 인사동에서 점심을 함께 했다.
한껏 멋을 부려 새내기 대학생이 된 모습을 보여주던 제자의 모습속에서 지난 추억들을 한올 한올 꺼낼 수 있었다. 나에게 제자가 들려주는 학교 시절의 나의 모습속에서 제자와의 즐거운 이야기꽃을 피우는 나의 모습은 다른 어떤 순간들보다 행복하고 따뜻했다.

하지만 제자는 몰랐을 것이다.
제자의 한마디 한마디 이야기 끝을 놓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는 나의 노력을….

캠퍼스가 학생들의 이야기들로 조금씩 북적거려지기 시작한다.
다들 오후 수업이 끝나고 공강시간이 된 듯 싶다.

나도 이제 자리를 일어 나야겠다.

다시 나의 자리. 내가 서 있어야 할 자리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니까.

얼마간의 시간이 흐르고
나는, 다시 이 공간을 찾아 올 것이다.

그때는 지금보다 더 성숙한 모습으로… 조금 더 어른이 되어간 모습으로… 이 공간을 내딛겠지.

언제든 꺼내어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추억이 있다는 것.
그리고 추억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
이것이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시간이다.

– 2002년 2월 15일 (금)
– 졸업 시즌을 접해서 ….. 고려대 캠퍼스에서…

[에세이] 20대, 준비를 위한 시간

컵

#20대, 준비를 위한 시간

먼 앞날에 대한 생각으로 하루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나를 둘러싼 환경과 나에 대한 한아름의 기대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 둘러싸여 나의 선택과 생각을 억눌렀던 적이 있습니다.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삶에 대한 희망어린 장미빛 전망을 갖는 것은 무척이나 기쁜일일지 모릅니다. 더욱이 사회의 첫발을 내딛는 20대의 젊은이들에게는 주변에서 바라는 기대감 못지 않게 자신의 내부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주체하지 못할 젊은 날의 뜨거운 열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그 열정에 대한 궁금함으로 고뇌하는 시간이 있을 수도 있고 한편에서는 그 열정에 자신의 삶 전체를 거는 위험한 길을 걷는 이도 보입니다.

20대는 정말 새로운 것들이 많이 접하게 되고 또 무엇이든지 해 낼 수 있을 것 같다는 긍정적인 시각이 머리속을 가득 채우는 시기입니다.
이런 시간속에서 여러분들은 여러분 나름대로의 선택과 계획을 세워 나가야 합니다.

어디에서부터이건 아무것이든지 직접 시작해보십시오.

처음에는 우연히 시작한 일들이 점점 그 형태를 잡아나가는 것을 보며 여러분들은 조금씩 자신감이 생겨나게 될 것이고 오래지 않아 자신이 이루어 놓은 것들에 대해 스스로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입니다.

실패의 경험을 두려워 하지 마십시오.

도전하는 마음속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게 자리잡고 있다면 어서 과감히 그런 나약한 마음일랑 마음 밖으로 던져 버리세요.

무엇이든 긍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마음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역사적으로 훌륭하다고 인정받고 있는 수많은 업적들이란 애당초 존재하지 못했을 겁니다.  여러분들이 이제 맞이하게 되고 또 동기들과 함께 어울려서 의지하고 함께 걸어가야 할 시간들속에서 각자의 자리와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키워 나가십시오.
그 작은 믿음이 하나 둘 연결되어 여러분들의 굳은 신념이 될 때, 사회에 나가 온갖 시련을 겪게 되는 순간에도 정신을 가다듬고 상황을 면밀히 분석 해결하는 유능한 사회인의 모습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20대, 아직 그 시간은 길고 또 깊습니다.

– 2001년 11월 2일
– 오랜만에 다시 찾은 교정에서….

[에세이] 도서관 나의 자리… 다시 시작이다…!!

내 학문의 시작.

학교 선생님들과 양평으로 야유회를 다녀와, 저녁 무렵에 있는 출판 관련 프로젝트 모임에 참석차 대학교 교정을 밟았습니다. 예정보다 일찍 들어선 교정에 새로 단장한 중앙도서관이 유독 저의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무슨 이유였을까요.

늘 지나다니는 건물이건만, 오늘따라 제 눈 가득 담겨오는 도서관의 모습은 오랜만에 만나는 친구의 다정함처럼 반갑고 다정스러워 보였습니다.

도서관에 들어서며,

문득 언제부터인지 마음 편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 보지 못하며 지내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무엇인가에 쫓기듯이 책장을 넘겨야 했고, 날짜에 맞추듯이 작업을 진행해야 했으니까요.

대학원 생활과 교직 생활 그리고 나름대로의 이유를 들어가며 찾아가는 핑계들 저편에는 궁색한 변명으로 인한 부끄러움과 목적과 수단이 뒤바뀐 현재의 모습이 드러나는 것 같아 마음 한편이 저려왔습니다.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한채 지나온 시간들…
그 시간만큼 가슴 한 구석을 아려오는 아쉬움은 지금 이 시간 저의 발거움을 무겁게 했습니다.

리모델링으로 예전보다 더 깔끔해지고 세련되어진 도서관 내부는 아직 정리되지 못한 부분들로 인해 조금은 어수선해 보였습니다.

    “당기시오”

열람실 문에 붙어 있는 글귀를 따라 힘차게 열고 들어간 열람실 안.

비가 오는 날이면 어김없이 찾아나섰던 열람실 나의 자리는 새로운 봄단장으로 인해 예전의 모습을 감추어 버리고 없었지만, 그때의 시간속에 가졌었던 행복한 마음가짐들은 고스란히 나의 마음속에 다시금 솟아 나고 있었습니다.

얼마만의 기쁨인지…

  무엇인가에 심취할 수 있다는 것.
  내가 하고 싶은 그 무엇이 있다는 것.
  그리고 지금 내가 그 무엇인가를 하려 한다는 것.

이 모든 것을 소중한 선물인듯 감사히 받아 안으며 자리에 앉아 책을 펼쳤습니다.

  언제일지 모르겠습니다.
  새롭게 자리 잡아가는 나의 자리에서,
  이 자리가 익숙해질때까지 나는 아주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그 인내의 시간 속에서, 나의 학문이, 나의 마음이, 조금은 더 성숙할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하여 봅니다.

– 2004년 4월 27일 (화)
– 고려대 중앙도서관에서…
– 황인중.

[에세이] 선택을 한다는 것의 의미

비 내리는 날

#선택을 한다는 것의 의미

비가 내리던 날의 교정의 모습이 생각이 납니다.
창 밖으로 시원스레 내리는 비를 바라보며 손에 꼭 부여잡은 커피잔의 온기를 찾아 더듬거려갔던 내 손가락의 움직임들…

라디오에서 흘려나오는 음악소리에 춤을 추듯 내리던 빗방울들은 보는 이의 마음을 흐뭇하고 즐겁게 만들어 주었었답니다.

비를 무척이나 좋아해서 비가 오는 날은 분위기가 한껏 들떠 수업을 했던 모습에 학생들의 당황스러운 표정들이 함께 어우려져 제 기억속의 한 장면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올 한해, 저에게는 참으로 많은 변화의 모습들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해를 고민하여 준비하여 온 일정들이 하나 둘 그 첫발을 내딛으려 하고 있는 순간들에 갑작스레 불안감들이 밀려오는 것은 왜 일까요.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인생 경험때문인것인지…

다시 시작한다는 것…..

그 시작이라는 단어만으로도 뿌듯하고 뭔가 새로움이 가득한 말인데…왠지 가슴 한 곳은 막막한 불안감으로 가득합니다.

오늘 이 순간, 비가 내리던 날의 창밖 정경이 그리운 것은 그 날의 따뜻한 분위기와 가슴 가득 채워졌던 행복감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꿋꿋하게 이겨내려 합니다.

학생들에게 항상 얘기한 것 처럼 그 누구도 대신 살아줄 수 없는 나의 삶을 당당하게 살아가야 하니까요. 소중한 나의 삶의 매 순간 순간을 진심을 다하여 살고 싶습니다.

많이 힘들고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하는 고민들에 휩싸여 있는 모든 분들께 … 우리 힘을 내자는 말을 전하여 드리고 싶습니다.

얼마전 가까운 이에게서 마음을 비우라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습니다.
모든 것을 꼭 움켜쥐고서는 인생에서의 성공이나 사람을 사랑하는 것에 있어서 그 결말이 행복할 수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사람의 욕심이라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이 큰 것인지….인간의 욕망이라는 것이 얼마나 헛된 것인지를 자각할 수 있다면 더 큰 사랑을 할 수 있을거라며 저의 선택에 혹시나 다른 무엇이 있는 것은 아니였는지 돌아보라고 조언을 해 주었답니다.

고마운 이의 충고를 감사히 받아 안으며 새로운 시작을 하기 전에 여행을 다녀 오려 합니다.
한달 정도 여행을 하며 새로운 삶에 대한 준비와 사색의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시간이 흐른뒤…

다시 찾은 공간속에는 보다 환한 웃음을 내어 짓는 여유와 마음가짐을 갖는 이로 서 있겠습니다.

여러분 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항상 행복하세요.

2004.7.3.
따뜻한 비

[에세이] 겨울이 들어서는 길목에서…

#겨울이 들어서는 길목에서

어느새 가을이 다 가고 하이얀 겨울이 성큼 다가서려 하고 있네요.
이번 가을에는 뭘 할까 하며 계획만 세웠던 것 같아 지나간 시간이 아쉽기만 하답니다.
여러분들은 지난 가을에 어떤 추억을 담아 두셨나요?

이번 겨울방학에는 거창한 계획보다는 지난 모습들을 되돌아 보려 합니다.
늘 언제고 정리하려 했던 창고속의 지나간 추억들을 다시 꺼내어 보며 책과 작문집 그리고 여러 가지 물품들을 정리해야 하겠습니다.

어제는 편지함을 정리하다가 한참 동안을 편지를 읽고 있었답니다.
어찌나 재미있고 고마운 편지들이었던지…..

살아가면서 친구들과의 이야기가 자꾸 현실속의 문제들로 좁아지는 것을 느낍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어쩔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지만 조금은 더 마음을 넓게 가져야 할 듯 싶습니다.

예전의 내 자신이 될 수야 없겠지만 그때의 우리들의 마음속을 가득 채웠던 젊음은 아직도 제 마음속에 가득하다는 것을 믿으니까요…

10대의 젊은 학생 여러분….
여러분들의 푸른 꿈과 세상에 대한 부푼 희망을 절대 잊거나 버리지 마세요…

여러분들에게 펼쳐진 세상의 길은 아직 충분한 시간과 할 수 있는 수많은 기회가 기다리고 있으니까요…

올 겨울…

여러분들과 함께 하는 시간속에서 보다 많은 순간들이 뜻깊고 보람된 추억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04.7.3.
따뜻한 비

error: Content is protected !!